예레미야애가 5장 11-22절 말씀 묵상
11 대적들이 시온에서 부녀들을, 유다 각 성읍에서 처녀들을 욕보였나이다
12 지도자들은 그들의 손에 매달리고 장로들의 얼굴도 존경을 받지 못하나이다
13 청년들이 맷돌을 지며 아이들이 나무를 지다가 엎드러지오며
14 노인들은 다시 성문에 앉지 못하며 청년들은 다시 노래하지 못하나이다
(총체적 재앙)
부녀자, 처녀, 지도자, 장로, 청년, 아이, 노인이라고하면 사실상 유다 백성의 전부를 가리킨다.
선지자는 유다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총체적 재앙을 말하고있다.
사실 유다 공동체의 구성은 하나님의 명령과 축복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이러한 불행은 모든 공급이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 불순종하였기에 나타난 결과들이다.
불순종은 단순히 관계를 유지하면서 말을 듣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반역으로서 관계성의 파괴를 의미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삶은 단순한 인간 성품의 경향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자체를 거부하는 반역인 것이다.
인간의 죄성의 심각성은 바로 하나님과의 관계성에 있는 것이다.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공동체는, 유다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은혜와 공급하심을 기초로하는 것이다.
순종은 하나님의 공급하심에 대한 순리적인 반응으로서 요구되는 것이다.
자녀가 부모로부터 모든 것을 공급 받으면서도 부모와의 관계성을 거부하는 것은 가족 공동체의 유지에 치명적이다.
가족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부모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있듯이, 하나님의 공급하심은 임시적인 것이다.
인간의 죄성의 본질은 공급받는 것과는 관계없이 하나님을 거부하며 하나님을 마음에 두기 싫어하는 것이기에, 유다 백성들과 같이 하나님과의 관계성의 단절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인간의 성품에 담겨있는 공동체성은 삼위 하나님의 공동체성으로부터 온 것이기에, 순종이 동반되지 않는 공동체는 유다 백성들과 같이, 파멸로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15 우리의 마음에는 기쁨이 그쳤고 우리의 춤은 변하여 슬픔이 되었사오며
기쁨과 춤은 여호와를 즐거워하는데서부터 출발한다.
다윗은 언약궤가 들어오는 날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을 추었지만, 이를 조롱하였던 미갈은 저주를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인간이 사는 동안에 기뻐 뛰노는 모습은 원래부터 순수하였지만, 어느덧 인간은 타락한 죄성으로 말미암아 음란으로 이어지는 문화를 만들었던 것이다.
16 우리의 머리에서는 면류관이 떨어졌사오니 오호라 우리의 범죄 때문이니이다
인간에게 부여되었던 면류관은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자로서 이 세상에서 누릴 수 있는 왕권의 표현이었다.
아담과 마찬가지로 유다 백성들이 누렸던 왕권은 불순종이라는 범죄 때문이었다.
현재의 인간들의 삶이 사단의 좀비 인생이 된 것은 원래 하나님께서 의도하셨던 바가 아니었음을 생각해 본다.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된 성도는 이 세상에 대하여 왕으로서의 직책이 회복된 자들이기에, 더 이상 이 세상에 종속된 생활을 하지 말아야 한다.
17 이러므로 우리의 마음이 피곤하고 이러므로 우리 눈들이 어두우며
안식을 누리지 못하는 인생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상실되어 어둠 가운데 헤맬 수 밖에 없다.
그리스도의 안식에 참여된 성도는 말씀과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빛 가운데 걸어가는 축복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18 시온 산이 황폐하여 여우가 그 안에서 노나이다
하나님이 거하실 곳이 사단에게 내어준바되었다.
아담의 불순종은 에덴에서의 산인 거룩한 시온 산에서 사단이 하나님께 도전하도록 기회를 주었으며, 거룩한 예루살렘은 여우들의 거처가 됨으로서, 참 예루살렘 되신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았다.
인간의 하나님께 대한 불순종은, 사단의 하나님께 대한 반역에 동참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보혈이 아니고는,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길이없다.
19 여호와여 주는 영원히 계시오며 주의 보좌는 대대에 이르나이다
불순종한 인간은 파멸될 수 밖에 없지만, 여호와 하나님은 영원하시기에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인간은 하나님을 소망 할 수 밖에 없다.
20 주께서 어찌하여 우리를 영원히 잊으시오며 우리를 이같이 오래 버리시나이까
선지자의 탄식을 구원자이신 그리스도를 바라는 기도다.
이 땅을 나그네와 같이 살아가는 신자는, 항상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을 소망하면서 살아가야한다.
21 여호와여 우리를 주께로 돌이키소서 그리하시면 우리가 주께로 돌아가겠사오니 우리의 날들을 다시 새롭게 하사 옛적 같게 하옵소서
구속redemption은 회복redeem의 의미가 담겨있어서 옛적의 상태로 돌이키는 것을 말하지만,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속은 단순히 에덴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에덴은 안식을 위한 과제가 성취되지 않은 곳이기에, 성도는 그리스도께서 에덴에서의 과제를 성취하셔서 이루신, 영원한 생명과 축복이 보장된 안식에 들어가는 것이다.
문화칼빈주의자들은 구원받은 성도는 범죄하기 이전의 에덴의 상태로 돌아간 것이기에, 에덴에서 아담에게 주어졌던 문화명령을 다시 실행하여야한다고 주장하며, 문화명령을 대위임령보다 상위에 두려고하지만, 이는 에덴과 그리스도를 철저하게 오해한 것이다.
창세기 1장 28절은 문화명령이나 창조명령의 개념이 아니라, 아담에게 부여된 직책을 표현하는 통치명령이나 대위임령으로 보는 것이 옳바르다.
아담은 에덴에서 그리스도의 모형으로서 제사장, 선지자, 왕으로서의 직책을 부여받았지만, 아담의 불순종은 이러한 직책의 상실을 의미했다.
유다의 실패는 아담과 마찬가지로 제사장, 선지자, 왕으로서의 직책의 실패였으며, 선지자가 간구하는 “우리의 날들을 다시 새롭게 하사 옛적 같게 하옵소서”는 희망 사항일 뿐이다.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은 제선지자의 희망 사항 이상의 것이었다.
그리스도는 둘째 아담으로서 아담이 에덴에서 실패한 제사장, 선지자, 왕으로서의 직책을 회복하셨기에, 에덴에서 주어졌던 통치명령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완성된 것이다.
성도가 받은 구속은 에덴으로 돌아가 다시 아담의 직책을 수행하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완성하신 에덴에서의 과제를 통하여 안식에 들어가는 것이다.
성도는 일주일의 첫날인 주일을 안식일로 여기면서, 그리스도의 안식을 기반으로 한주를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22 주께서 우리를 아주 버리셨사오며 우리에게 진노하심이 참으로 크시니이다
아담의 후손인 모든 인간은 하나님께 버림받은 상태이며, 하나님의 진노의 결과이지만, 현재 누리는 축복은 오직 영원한 구속을 위해서 주어지는 임시적 은혜일 뿐이다.
주어진 임시적 은혜는 오직 그리스도께 나아가기 위한 것이다.
현재의 삶에서 감사드릴 일들은 오직 그리스도께 향하는 일들로 귀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예레미야애가 묵상을 마치면서
불순종한 유다와 멸망당한 예루살렘은 궁극적으로 우리 인간이 처하여있는 보편적 상태를 묘사하고있다.
에덴은 성전이었기에, 아담은 성전에서의 제사장, 선지자, 왕으로서의 직책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했다.
이스라엘과 유다의 패망은 에덴에서의 아담의 불순종이 재연된 것이었다.
인간은 누구나 아담의 후손으로서, 율법 아래 있었던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과 마찬가지로, 자연법 아래에서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놓여있다.
불순종한 유다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타락한 아담의 후손인 모든 인간들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허락하시지 않으시면 인간 스스로가 주께로 나아갈 수가 없다.
새관점이나 신정통주의와 같은 현대 신학에서는 아담의 죄를 애써 무시하거나 축소시키려고하지만, 둘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은 율법 아래서 율법의 요구를 다 충족시키신 그리스도의 순종으로 말미암아 성취된 것이다.
하나님은 불순종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시고는 우리를 받아들일 수가 없으시다.
유다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는 불순종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아담의 후손인 인간의 상태가 어떠한지를 보여주시는 것이며, 아담의 불순종이 재연된 것이었다.
인간은 불순종의 심각성에 대한 의식이 없다면,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중요성을 알 수가 없을 것이다.
하나님 보시기에 가장 심각한 이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전적으로 부패한 인간인지에 대한 의식이 없는 이들일 것이다.
스스로 의롭다하며, 선함을 통하여 자신들의 의를 증거하려는 이들은, 자신들이 전적으로 부패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이들이다.
인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들의 선함이나 선행을 증거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스스로 의롭다하는 바리세인의 심각성이 여기에 있다.
예수님께서는 선행을 증거하려는 이들을 가리켜 “독사의 새끼들”이라고 말씀하셨다.
스스로 의롭다하며 세상에서 선하게 살려는 이들은, 그리스도를 거부한다는 면에서 하나님을 대적하는 이들이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세리와 창기들은 자신들이 전적으로 부패한 죄인임을 인정하고 그리스도께 나올 수가 있었다.
불행한 환경은 오히려 자신들의 죄를 드러내면서, 복된 환경이 될 수도 있다.
유다의 총체적 불행은,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해석될 때, 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축복이 될 수 있다.
현재의 삶의 환경 가운데 경험하는 부정적 상황들은 멸망받을 자에게는 재앙이지만 구원받을 자에게는 영원한 생명을 위한 복된 환경이 될 수도 있음을 생각해본다.
'예레미야애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레미야애가 5장 1-10절 말씀 묵상 (0) | 2018.03.22 |
---|---|
예레미야애가 4장 11-22절 말씀 묵상 (1) | 2018.03.21 |
예레미야애가 4장 1-10절 말씀 묵상 (0) | 2018.03.20 |
예레미야애가 3장 1-18절 말씀 묵상 (0) | 2018.03.16 |
예레미야애가 2장 11-22절 말씀 묵상 (0) | 2018.03.15 |